스태그플레이션과 자본주의의 모순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에세이/경제와 산업

스태그플레이션과 자본주의의 모순

자본주의와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뉴스는 연일 물가상승에 대한 이야기뿐이다. 이런 가운데 IMF는 지난 4월에 이미 41개국이 디폴트 위기에 있다고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이 각각 경기 성장이나 하락에 별도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면서 경기후퇴가 동시에 일어나는 상황을 말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이런 비합리적인 상황을 전쟁이나 유가등 여러 외부 요인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려 노력한다. 그러나 이런 외부 요인들은 부수적인 문제일 뿐이다. 스태그플레이션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선 자본주의 시스템과 미국의 달러 패권이 지니고 있는 구조적인 모순을 알아야 한다. 물가는 본질적으로 화폐의 문제다. 지금 전 세계적으로 벌..

2022.12.16 게시됨

반값 치킨 가격 논란과 원가 계산법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에세이/경제와 산업

반값 치킨 가격 논란과 원가 계산법

상품 가격이 원재료 값보다 적어도 3배는 비싸야 하는 이유 최근 한 마리에 6000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으로 이슈를 만들었던 대형마트의 '반값 치킨' 논란은 사실 새로운 화두가 아니다. 과거에도 음식 가격에 대한 논란은 꾸준히 있어왔다. 예를 들면 '커피 원두의 원가가 400원인데 커피 한 잔 값이 4,000천원 이상인게 말이 되느냐'는 식이다. 사실 이같은 논쟁은 사람들이 '원가'와 '재료비'의 개념을 혼동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이다. 회계에서 말하는 원가는 원재료 뿐만 아니라 인건비, 임대료, 감가삼각 등을 모두 고려해서 산출해야 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자영업에서(업종마다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상품 가격의 마지노선을 '원재료 값의 3배' 정도로 책정한다. 가격이 그 이하로 떨어지면 이윤을 남기기 힘..

2022.12.16 게시됨

경제위기 때마다 등장하는 용어 블랙스완(black swan)은 무엇일까?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에세이/경제와 산업

경제위기 때마다 등장하는 용어 블랙스완(black swan)은 무엇일까?

나심 탈래브가 말하는 블랙스완의 정확한 의미 요즘 미디어에 '블랙스완'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최근 금융위기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서 경제 전문가나 유튜버 등 너 나 할 것 없이 블랙스완이라는 단어를 남발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이 말하는 블랙스완은 엄밀히 말하면 진짜 블랙스완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블랙스완이란 본래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이례적인 사건'을 통칭하는 단어로 전쟁이나 테러, 재난 상황 같이 기존의 상식을 뛰어넘는 극단적인 사건을 말한다. 애초에 여러 사람들 입에 오르내릴 정도의 사건이라면 그건 이미 블랙스완이 아니다. 사실 블랙스완이 경제적 용어로 자주 쓰이는 이유는 이 단어가 최초로 등장했던 시기가 전 세계를 강타했던 2008년 금융위기와 맞물렸기 때문이다. 블랙스완이라는 용..

2022.12.05 게시됨

아날로그 매체가 갈수록 중요해지는 이유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에세이/경제와 산업

아날로그 매체가 갈수록 중요해지는 이유

디지털이 아날로그를 죽였다고? 사람들은 디지털보다 아날로그를 좋아한다. 당장 나의 새로운 연인이 만질 수도, 느낄 수도 없는 컴퓨터 화면 속에서만 존재한다면 어떨까? 나의 사랑스러운 반려묘가 모바일 화면 속에서만 만날 수 있다면 진정으로 교감이 가능할까? 우리가 흔히 ‘굿즈’라고 부르는 상품들은 사람들의 이런 욕망을 충족시켜주기 때문에 존재한다. 누군가가 좋아하는 가수의 공연에 직접 가거나 해당 가수와 관련된 상품을 구입하는 것은 그들과 직접 소통하고 느끼고 싶은 욕망이 발현된 것이다. 이건 인쇄시장도 마찬가지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전체적인 인쇄물의 매출이 떨어진 것은 사실이나 고객들은 자신들이 진정으로 좋아하고 관심있는 분야의 출판물은 직접 구매하고, 경험하려는 소비행동은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문화..

2022.11.25 게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