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널리틱스 목표 설정으로 내 웹 사이트가 매력적인지 판별하는 방법

M.동방불패

·

2019. 5. 20. 13:53

728x90

구글 애널리틱스 목표 설정으로 충성 오디언스를 추적할 수 있다

 

 

1. 웹 사이트 충성도와 데이터 분석

 

최근 온라인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데이터는 재방문(Retention) 지표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사이트의 재방문율이 높다는 것은 곧 충성 오디언스가 높다는 것을 뜻한다. 그럼 사이트의 재방문 비율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당연히 내 사이트에 접속한 고객의 발을 묶어 둘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와 같은 매력적인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따라서 마케터는 여러 테스트를 통해 자사 KPI(핵심성과지표)에 맞는 핵심 오디언스를 찾아내고 유도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데이터 분석가는 이러한 마케터의 기획의도가 사이트에 잘 반영되고 있는지, 혹은 현재 어떻게 성과가 나고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 정량화 작업을 할 줄 알아야 한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맞는 목표 설정을 통해 현재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있는 충성 오디언스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2. 충성 오디언스 확인을 위한 구글 애널리틱스 목표 설정

 

먼저 기획자는 자신의 사이트에 방문하는 핵심 오디언스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을 정해야 한다. 나의 경우 내 블로그에 방문한 유저가 3개의 페이지를 연달아 조회할 경우, 또는 사이트에 5분 이상 머물 경우에 내 채널의 충성 오디언스라고 판단했다. 그럼 이 기준을 토대로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충성 오디언스를 설정하고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구글 애널리틱스 좌측 사이드바의 관리 메뉴를 클릭하면 <계정>, <속성>, <보기> 세 가지 섹션이 화면에 나타난다. 

 

<보기> 섹션의 목표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새 목표를 클릭하고 맞춤 설정으로 진행해 준다. 

 

 

2. 1) 섹션당 페이지 수/조회 화면 수에 따른 오디언스 추적방법

 

우선 유저의 페이지뷰 조회 수를 설정해 보자. 목표 설명에 목표 이름을 직접 입력한 뒤, 유형에 섹션당 페이지 수/조회 화면 수를 체크한다. 

 

목표 세부정보에 섹션당 페이지 수/조회 화면 수에 '3'을 직접 입력하고 목표 값을 입력해준다.

 

나의 경우 목표 값, 즉 충성 오디언스 1명 당 3,000원이라고 판단했다.(목표 값은 공백으로 설정해도 상관없지만 더욱 정밀한 데이터 분석을 원한다면 자신의 사이트 방문 고객의 기댓값을 정량화 해두는 것은 좋은 습관이다.) 이것은 사이트의 성격이나 마케터의 경험에 따라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화폐 단위가 달러로 되어 있다면 원화로 바꾸는 설정은 아래 링크를 참고 하자.

(참고 : 구글 애널리틱스 화폐단위 원화로 변경하는 방법)

 

 

2. 2) 체류시간에 따른 오디언스 추적 방법

 

목표 설정에서 이름을 입력해 주고, 이번에는 유형에 시간을 체크하고 진행해준다.

 

목표 세부정보에 시간을 입력하고 목표 값을 설정해주면 다음처럼 체류시간에 따른 목표 값이 추가된다. 

 

설정이 마무리되면 다음과 같이 <보기>목표 섹션에 설정한 목표 값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3. 목표 값 데이터 지표 확인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원하는 목표 값을 설정해두면 여러 보고서 카테고리에서 다음 화면과 같이 핵심 오디언스에 대한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보고서 획득 카테고리의 개요 화면
보고서 행동 카테고리의 사이트 콘텐츠 화면

 

이렇게 사이트 방문 유저의 세부 지표 설정은 자사 웹 사이트의 매력도를 측정하고 오디언스의 충성도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목표 값의 설정과 이에 따른 ROI 정량화 작업에는 기업의 KPI와 마케터의 기획력에 따라 그 정확도와 예측 가능성이 달라진다. 때문에 기획자는 종합적인 데이터 마케팅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분석 툴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해당 산업에 대한 꾸준한 공부 또한 필요하다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구글 애널리틱스 사용법 전체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