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콘텐츠
-
카테고리 없음 당신의 조직원들이 자꾸 퇴사하는 근본적인 이유 당신의 기업은 자랑스러운 곳인가요? 과거 조나단 도Jonathan P. Doh 교수는 무작위로 선출된 28개 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가들이 퇴사하는 이유’에 대해 조사를 진행했다. 흥미로운 점은 연구 대상이 된 기업의 이직률이 ‘조직의 프라이드’와 관련이 많다는 사실이었다. 조직 프라이드가 가장 높은 성향을 보인 곳은 5~10%의 이직률을 보였지만, 반대로 가장 낮는 프라이드 ..
-
관리학 조직의 생산성을 급격하게 올려주는 동기부여의 비밀 위대한 조직을 만드는 마법의 글자 ‘Why’ <본문 광고 없이 보기> TED 토크의 스타 강연자 사이먼 사이넥은 실패하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자신들의 서비스나 상품이 ‘무엇(What)’인지에 집중한다고 한다. 그에 따르면 이런 조직은 소비자들은 물론 조직원들에게도 영감을 불어넣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출처 : <유튜브, TED 토크, 사이먼 사이넥> / 리더십 전문가 사이먼 사이넥은 'Why'에 집..
-
창업이야기 끝나지 않는 코로나 사태 창업가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창업가가 운명을 받아들이는 방법 <본문 광고 없이 보기> 불교에는 ‘카르마’와 ‘다르마’라는 개념이 있다. 우리가 흔히 ‘업(業)’이라고 부르는 카르마는 나에게 정해진 숙명으로 개인이 바꿀 수 없는 정해진 이치를 말한다. 반면 다르마는 나의 숙명 안에서 내가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말한다. 카르마가 절대적이라면 다르마는 상대적이다. 결국 우리가 할 수 있..
-
경영 이론과 실제 때로는 후발주자가 되어야 한다 2등 전략이 유리한 이유 <본문 광고 없이 보기> 일본의 자동차 회사 닛산은 과거 ‘샤니’라는 신제품을 성공시키기 위해 엄청난 광고 예산을 들이며 전국적으로 홍보를 했다. 닛산의 전략은 큰 성공을 거두게 되었고, ‘샤니’는 대중 자동차 시장에서 단숨에 1위로 올라서게 된다. 이를 지켜보던 도요타는 이후 ‘샤니’의 장단점을 치밀하게 분석해 ‘샤니’보다 조금 더 업그레..
-
경영 이론과 실제 당신의 서비스가 시장에서 늘 외면받는 이유 캐즘 이론으로 보는 서비스 확산의 법칙 <본문 광고 없이 보기> 과거 천재적인 마케팅 이론가인 ‘제프리 무어’는 혁신적인 제품이 시장에서 살아남지 못하는 현상을 밝혀냈다. 무어에 따르면 모든 제품은 기술이 시장에 확산되는데 필요한 특별한 주기가 존재하는데 대부분의 제품들은 초기 특정구간을 극복하지 못하고 탈락하고 만다고 한다.(제프리 무어는 이 죽음의 골짜기를 ‘캐즘’이라 이름 붙였다.) 그는 저서인..
-
책 리뷰 마이클 포터의 〈경쟁전략〉, 〈경쟁우위〉 꼭 봐야 할까 마이클 포터의 <경쟁전략>, <경쟁우위>가 대체 뭐길래 <본문 광고 없이 보기> 마이클 포터의 <경쟁전략>을 처음 읽었던 건 지금으로부터 5~6년 전 직장을 다니면서 창업을 생각하고 있을 때였다.(피터 드러커도 그렇고 이때 한창 경영관련 고전을 많이 찾아봤다)마이클 포터의 핵심 이론이야 원채 유명해서 대강 알고는 있었지만 다 읽고 든 생각은 ‘아… 버겁다’였다. 피터 드러..
-
책 리뷰 스타트업은 어떻게 고객을 확보해야 할까 <디커플링>의 저자 탈레스 S. 테이셰이라가 말하는 7가지 고객확보 전략 <본문 광고 없이 보기> 아무리 뛰어난 아이디어가 있어도 고객이 없으면 기업은 살아남을 수 없다. 특히 스타트업은 그 특성상 비용과 자원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빠르게 초기 고객을 빠르게 확보하지 못하면 기업을 운영하는데 큰 어려움에 빠질 수 있다. 실제로 스타트업에 대한 여러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성공적인 스타트업은 시장에 서비스가 나..
- 공지사항 경영과 비즈니스에 대한 더 많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안녕하세요. 위즈앤비즈 운영자입니다. 최근 창업과 신규 매체 창간으로 오랜기간 블로그에 신경을 못썼는데도 꾸준히 방문해 주시는 구독자 분들께 매우 감사드립니다. 저는 현재 비즈니스 전문 매체인<어벤처스>에도 지속적으로 칼럼을 올리고 있으며, 경영과 비즈니스, 창업에 관한 더 많은 칼럼을 <어벤처스>를 통해 구독자 분들과 만나게 되어 이렇게 공지를 올립니다.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면 매주 뉴스레터도 받아보실 수..
-
콘텐츠 마케팅의 이해 우리나라 온라인 언론사는 모두 성인병에 걸려있다 우리나라 언론사들은 이 두 매체의 성공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결코 네이버로 대변되는 대형 플랫폼의 눈치를 보지 않았다. 물론 페이스북의 수혜를 받긴 했지만 현재는 자립에 성공해 자체 뉴스플랫폼 브랜드를 만들어나가는 점에서도 본받을만 하다. 아쉽게도 대다수의 국내 온라인 언론사는 조금 다른 길을 걷고 있다. 이들을 인간의 몸에 비유하자면 마치 당뇨와 고혈압에 걸린 것과 비슷하다. 인간이 당을 섭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