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조직원들이 자꾸 퇴사하는 근본적인 이유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경영 노트/관리학

당신의 조직원들이 자꾸 퇴사하는 근본적인 이유

당신의 기업은 자랑스러운 곳인가요? 과거 조나단 도Jonathan P. Doh 교수는 무작위로 선출된 28개 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가들이 퇴사하는 이유’에 대해 조사를 진행했다. 흥미로운 점은 연구 대상이 된 기업의 이직률이 ‘조직의 프라이드’와 관련이 많다는 사실이었다. 조직 프라이드가 가장 높은 성향을 보인 곳은 5~10%의 이직률을 보였지만, 반대로 가장 낮는 프라이드 수준을 보인 기업일 수록 21~36%정도가 이직할 생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프라이드가 낮은 수준을 보인 곳은 높은 곳보다 4배 정도 많게 이직을 원했던 것이다. 조직에 대한 프라이드가 없으면 유능하고 훌륭한 직원들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지시키기는 더욱 힘들다. 이제 조직의 리더는 구성원들의 프라이드를 높이기 위해 ..

2021.08.06 게시됨

조직의 생산성을 급격하게 올려주는 동기부여의 비밀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경영 노트/관리학

조직의 생산성을 급격하게 올려주는 동기부여의 비밀

위대한 조직을 만드는 마법의 글자 ‘Why’ TED 토크의 스타 강연자 사이먼 사이넥은 실패하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자신들의 서비스나 상품이 ‘무엇(What)’인지에 집중한다고 한다. 그에 따르면 이런 조직은 소비자들은 물론 조직원들에게도 영감을 불어넣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출처 : / 리더십 전문가 사이먼 사이넥은 'Why'에 집중한 골든서클 이론으로 위대한 조직의 비밀을 풀어냈다 사이먼 사이넥은 영상에서처럼 위대한 조직은 ‘무엇을(What)’이 아닌 ‘왜(Why)’에 집중한다고 말한다. 그럼 실제로 조직에 ‘왜(Why)’를 도입하는 것이 정말 효과가 있을까? 펜실베이니아대학교 경영 대학원의 연구 애덤 그랜트는 기업에서 ‘왜’를 도입하게 되면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연구하기 위해 그렌트의 연구팀은 매일..

2021.08.01 게시됨

피터 드러커가 말하는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요소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경영 노트/피터 드러커

피터 드러커가 말하는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요소

부를 창출하는 자원을 생산성 높게 활용하는 방법 '생산성'이란 생산 과정에서 생산요소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결합하였는가의 정도를 말한다. 이것은 투입된 자원에 비해 산출된 생산량이 어느 정도인가를 대변한다. 따라서 생산성의 향상은 곧 경영자의 능력을 가늠하는 척도라고도 볼 수 있다. 경영학의 구루인 피터 드러커는 '생산성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산출물을 낼 수 있는 효율성'이라고 정의 내린다. 피터 드러커는 저서이자 경영학의 고전인 『경영의 실제』에서 생산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기업은 '고객창조'라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부를 창출하는 자원을 관리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기업은 그런 자원들을 생산성 높게 활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것이 바로 기업의 경영관리 기능이다. 기업의 경제적..

2019.01.01 게시됨

인재 유형에 따른 관리전략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경영 노트/관리학

인재 유형에 따른 관리전략

경력 그래프에 따른 인재의 4가지 유형 스포츠마케팅의 전설로 불리는 '마크 매코맥(Mark Hume McCormack)은 자신의 저서 「비즈니스 현실감각」에서 인재를 4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마크 매코맥은 실제 자신의 기업을 운영하면서 유형별로 인재들이 성과를 내는 방식과 특성이 달랐다고 기술하며 그들의 특성을 파악해서 인재 운용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주장한 경력 그래프에 따른 인재의 4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챔피언 유형 챔피언 유형이라 불리는 이들은 경력의 상승곡선이 순탄하지 않다. 굴곡졌지만 꾸준히 상승하는 그래프는 이들이 실패를 극복해왔던 다양한 경험들을 나타낸다. 이는 또한 챔피언들이 위험에 당당히 맞서는 면모를 보여준다. 비즈니스에서 챔피언 유형의 탁월한 자질은 실수와 실패를 반복하..

2018.07.13 게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