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화4 마케팅은 나음이 아니라 다름이어야 한다(고전적 조건화 이론) 고전적 조건화와 차별화 마케팅 심리학에는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라는 개념이 있다. 우리에게 흔히 ‘파블로프의 개’로 알려진 이 심리학 이론은 19세기 러시아의 생리학자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의 실험에서 유래됐다. 파블로프는 개에게 먹이를 줄때마다 종소리를 냈는데, 종소리가 들릴 때마다 먹이가 있다는 것을 인식한 개는 자연히 침을 흘리기 시작했다. 종소리와 먹이라는 사고의 연합 과정은 인간에게도 동일하게 일어난다. 우리가 햄버거를 주문할 때 콜라를 함께 주문한다거나 치킨에 맥주가 땡기는 것도 고전적 조건화로 볼 수 있다. 어떤 사람은 레몬향을 맡을 때 설겆이를 하고 싶어진다고 하는데, 이는 과거에 대부분의 세제 제조 업체들이 주방 세제에 주로 레몬 향을 첨가한 결과로.. 2022. 12. 17. 마이클 포터의 3가지 본원적 전략으로 경쟁에서 우위를 만드는 법 마이클 포터가 말하는 3가지 본원적 경쟁전략은 무엇일까 마이클 포터에 따르면 기업은 근본적으로 두 가지 전략을 통해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1. 원가절감 2. 차별화 그리고 이 기본적인 두 가지 유형의 경쟁우위는 각각 '집중화' 전략을 사용해 산업 내 거점 안에서 새로운 경쟁우위를 만들어낼 수 있다. 마이클 포터가 말한 이론을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다음과 같다. 1. 원가우위 전략 원가우위의 원천은 다양하다. 원가는 산업 구조와도 관련이 깊은데 규모의 경제, 독점 기술, 차별화된 원자재 확보 방법 등이 있다. 식당 프랜차이즈는 원가절감을 통해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대표적인 업종이다. 식당 프랜차이즈는 가맹점이 늘어날수록 유통비와 식자재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통한 .. 2022. 12. 2. 마이클 포터의 〈경쟁전략〉, 〈경쟁우위〉 꼭 봐야 할까 마이클 포터의 , 가 대체 뭐길래 마이클 포터의 을 처음 읽었던 건 지금으로부터 5~6년 전 직장을 다니면서 창업을 생각하고 있을 때였다.(피터 드러커도 그렇고 이때 한창 경영관련 고전을 많이 찾아봤다)마이클 포터의 핵심 이론이야 원채 유명해서 대강 알고는 있었지만 다 읽고 든 생각은 ‘아… 버겁다’였다. 피터 드러커나 톰 피터스 들과는 다르게 과 로 대표되는 마이클 포터의 두 책은 각각의 두꺼운 책 한 권이 전부 이론과 개념들의 정리로 되어있다.(대학교제로 쓰이는 거니 당연하겠지만) 물론 사례가 있긴 해도 매우 간략하고 군더더기가 없어 꽤나 무미건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마이클 포터의 책을 지금도 들쳐보는 이유는 1. 전쟁과 비즈니스를 결합한 경영 이론서들 중 가장 그 토대가 탄탄하다고 느꼈고,.. 2021. 7. 29. 포지셔닝(Positioning)이란 무엇일까? 포지셔닝이 대체 뭐야? 포지셔닝의 정의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다. '하나의 제품이나 서비스, 혹은 회사를 소비자들의 인식 속에 특정한 이미지로 자리 잡게 하는 일, 또는 전략' 쉽게 말해 '이미지를 고객의 마음에 자리 잡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광고인 박웅현씨의 저서 에는 이를 잘 나타내주는 일화가 나온다. "100명의 부모들을 강당에 모아 놓고 10분씩 자식자랑을 하게끔 한다고 해 봅시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하고 싶은 말을 다 쏟아냅니다. 자식의 모든 점이 사랑스러운 부모에게 할 말이 얼마나 많겠습니까? 그런데 한 부모가 ‘우리 애는 눈이 예쁘답니다’로 시작해서는 10분 내내 눈 이야기만 했습니다. 그 아이는 그 날로 그 학교의 유명한 학생이 됐죠. 이처럼 선택과 집중만.. 2019. 3.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