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매틱(Programmatic) 관련 용어 정리 (2)

M.동방불패

·

2019. 3. 6. 09:43

728x90

프로그래매틱 광고용어 정리

 

<이미지 출처 :  셔터스톡>

 

* 프로그래매틱 광고란?

 

프로그래매틱 광고란 간단히 말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디지털 광고를 구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온라인 광고 입찰 과정은 사람이 직접 관여해왔던 것과 다르게,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등의 기술로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 프로그래매틱 광고 

 

■ 트래킹

 

Third Party Tracking Tool(써드파티 트래킹 툴) : 유저의 행동을 추적하고 광고 캠페인별, 매체별 기여도를 확인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솔루션으로, Attribution Tool(어트리뷰션 툴)이라고도 불림. (대표회사 : Adbrix, Adjust, Appsflyer, Kochava, Singular, Tune )

 

Attribution Model(기여 모델) : 매체별 광고 기여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델.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경우도 있지만, 주로 유저가 전환되기 직전에 접한 매체에 100%의 기여도를 부여하는 Last Touch(Last Click)모델이 사용되고 있음

 

Attribution Window/Lookback Window(어트리뷰션 윈도우) : 매체의 전환에 대한 기여를 인정하는 기간으로, 기본적으로 클릭은 클릭 후 7일 내, 노출은 노출 후 24시간 내로 정하고 있으나 매체에 따라 기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기여 기간을 정하는 매체도 있음(SAN 참고)

 

SAN(Self-Attribution Network, 자기기여 네트워크) : 자체적으로 어트리뷰션 윈도우 기간을 정한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대형 매체들을 칭함. 써드파티 트래킹 툴에서 SAN에 대한 어트리뷰션 윈도우 기간을 다르게 정하여 수치를 볼 수는 있으나, SAN의 어트리뷰션 윈도우 기간을 수정할 수는 없음

 

Postback/Callback(포스트백/콜백) : 앱 설치, 구매 등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간 트래킹. 트래킹, 최적화, 정산 등 다양한 목적으로 쓰임


 

ADID/GAID(Advertising Identifier/Google Advertising Identifier) : 광고 목적으로 유저에게 개별적으로 부여하는 ID Device ID와 다르게 유저가 끄거나 리셋할 수 있음

 

IDFA(Identifier for Advertisers) : 애플이 광고 목적으로 디바이스별로 부여하는 ID

 

Device ID(디바이스 ID) : 스마트폰 고유 식별 코드로써 광고 트래킹 또는 앱 유저 식별을 위해 사용됨. 기존에는 Android IDUDIDDevice ID로 수집되었지만 개인정보 침해를 염려하여 ADID IDFA로 대체 되었음

 

LAT(Limit Ad Tracking) : 유저가 광고 목적으로 타겟팅 되고 싶지 않다는 의사를 밝히는 것으로 유저가 직접 설정할 수 있음

 

Tracking Pixel : 1x1 픽셀 크기의 투명한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는 코드로 웹이나 이메일에 심어서 방문, 오픈, 상품 구매 등을 추적할 수 있음

 

Cookie : 웹 브라우저가 저정하는 웹사이트에서 만들어진 방문자에 대한 정보로, 유저를 기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장됨. 브라우저를 종료하면 삭제되는 session쿠키와 일정 기간 후에 삭제되는 persistent쿠키가 있음

 

Ad Tag : 애드 서버나 익스체인지가 제공하는 광고 태그로, 퍼블리셔의 웹페이지에 배치됨. 애드태그는 애드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불러오는 역할을 함

 

Tag : 웹사이트 혹은 모바일 앱에 심는 코드로, 정보를 써드파티에 보내는 역할을 함

 

Event : 유저가 특정 행동을 했을 때 트래킹 되는 지표 ex) 설치, 회원가입, 레벨달성, 구매 등

 

Viewability : 유저에게 실제로 노출된 노출을 계산하는 측정 항목 중 하나로, 크리에이티브에 심어져있는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트래킹함. IAB에서는 유저가 광고의 50%를 최소 1초간 보았을 때 viewable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이를 측정하는 회사마다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음

 

 

■ 데이터

 

1st Party Data : 자사의 유저 데이터로, 회원가입시 제공한 정보, 구매 정보, 행동 패턴 등 사이트, ,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유저의 데이터가 이에 해당

 

2nd Party Data : DMP나 광고주, 매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취득한 다른 회사의 1st Party Data

 

3rd Party Data : 어떤 웹사이트나 앱, 서비스 등의 운영 주체가 직접 수집한 정보가 아닌 제 3자의 쿠키, SDK등이 수집한 데이터로 좀 더 많은 오디언스에 도달하기 위해 주로 사용됨

 

 

■ 수익화

 

IAP(In-App Purchases) : 인앱 구매

 

Subscriptions : 연간, 월간 구독 등 주기적으로 결제가 되는 시스템

 

Inventory : 매체가 제공하는 광고 영역

 

Interstitial Ads : 모바일 전면 광고 혹은 전면에 가까운 큰 크기의 팝업 배너 광고

 

Rewarded Video Ads(보상형 비디오 광고) : 영상 광고를 시청하는 대가로 앱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리워드를 제공하는 형태의 광고. 영상을 시청한 유저가 시청 후에 한 행동(ex : 설치) 에 대한 것은 리워드를 지급하지 않음

 

Native Ads(네이티브 광고) : 앱의 느낌과 사용 흐름에 맞게 바뀐 광고. 앱 유저의 경험을 해치지 않기 위하여 사용되는 형태

 

House Ads(하우스 광고) : 외부가 아닌 앱 개발자가 직접 송출하는 광고로, 보통 보유하고 있는 다른 앱들의 광고를 하기 위해 사용됨


 

Out-stream Video(아웃스트림 비디오) : 비디오 플레이어 구역 외에서 보이는 영상 광고. 기사나 블로그 글 문단 사이에 보통 위치하며, 유저가 화면을 보고 있을 때 노출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음

 

In-stream Video(인스트림 비디오) : 비디오 플레이어 내에서만 보이는 영상 광고. 영상 컨텐츠의 시작, 중간, 끝에 광고가 재생됨

 

Mediation(미디에이션) : Waterfall 모델을 기반으로 한 기술로, 매체가 다수의 애드네트워크의 노출 순서를 관리하거나 자동으로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함

 

Waterfall/Daisy-chaining : 다수의 애드네트워크 혹은 익스체인지의 순서를 사전에 정하여, 노출(impression) 1순위 애드네트워크/익스체인지에서 판매되지 않으면 판매 될 때까지 다음 애드네트워크나 익스체인지로 전달됨. 매체가 수익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법 중 하나

 

Header Bidding : 인벤토리 구매를 원하는 애드네트워크, 익스체인지, SSP들로 부터 동시에 입찰 금액을 받는 방법. 사전에 정해진 순서대로 입찰하던 기존 Waterfall 방법보다 수익화에 더 유리함

 

Ad Request : 웹 페이지 혹은 앱을 유저가 로딩했을 때 광고 영역에 광고를 보여주기 위하여 애드서버에 보내는 호출. 유저의 이탈이나 Fill-Rate에 따라 광고 노출(impression)보다 그 수치가 높을 수 있음

 

Fill Rate : 총 광고 요청 대비 성공적으로 노출된 광고의 비율

 

Latency(지연) : 광고 요청과 실제 송출까지의 시간. 이 시간이 길어질 경우, 수익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침

 

Frequency Capping : 유저의 클릭 수나 노출 수를 기반으로 유저당 광고 노출 횟수를 제한하는 것



[관련 글]

프로그래매틱(Programmatic) 관련 용어 정리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