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매틱(Programmatic) 관련 용어 정리 (2)
M.동방불패
·2019. 3. 6. 09:43
프로그래매틱 광고용어 정리
<이미지 출처 : 셔터스톡>
* 프로그래매틱 광고란?
프로그래매틱 광고란 간단히 말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디지털 광고를 구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온라인 광고 입찰 과정은 사람이 직접 관여해왔던 것과 다르게, 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등의 기술로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 프로그래매틱 광고
■ 트래킹
Third Party Tracking Tool(써드파티 트래킹 툴) : 유저의 행동을 추적하고 광고 캠페인별, 매체별 기여도를 확인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솔루션으로, Attribution Tool(어트리뷰션 툴)이라고도 불림. (대표회사 : Adbrix, Adjust, Appsflyer, Kochava, Singular, Tune 등)
Attribution Model(기여 모델) : 매체별 광고 기여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델.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경우도 있지만, 주로 유저가 전환되기 직전에 접한 매체에 100%의 기여도를 부여하는 Last Touch(Last Click)모델이 사용되고 있음
Attribution Window/Lookback Window(어트리뷰션 윈도우) : 매체의 전환에 대한 기여를 인정하는 기간으로, 기본적으로 클릭은 클릭 후 7일 내, 노출은 노출 후 24시간 내로 정하고 있으나 매체에 따라 기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기여 기간을 정하는 매체도 있음(SAN 참고)
SAN(Self-Attribution Network, 자기기여 네트워크) : 자체적으로 어트리뷰션 윈도우 기간을 정한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대형 매체들을 칭함. 써드파티 트래킹 툴에서 SAN에 대한 어트리뷰션 윈도우 기간을 다르게 정하여 수치를 볼 수는 있으나, SAN의 어트리뷰션 윈도우 기간을 수정할 수는 없음
Postback/Callback(포스트백/콜백) : 앱 설치, 구매 등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간 트래킹. 트래킹, 최적화, 정산 등 다양한 목적으로 쓰임
ADID/GAID(Advertising Identifier/Google Advertising Identifier) : 광고 목적으로 유저에게 개별적으로 부여하는 ID로 Device ID와 다르게 유저가 끄거나 리셋할 수 있음
IDFA(Identifier for Advertisers) : 애플이 광고 목적으로 디바이스별로 부여하는 ID
Device ID(디바이스 ID) : 스마트폰 고유 식별 코드로써 광고 트래킹 또는 앱 유저 식별을 위해 사용됨. 기존에는 Android ID와 UDID가 Device ID로 수집되었지만 개인정보 침해를 염려하여 ADID와 IDFA로 대체 되었음
LAT(Limit Ad Tracking) : 유저가 광고 목적으로 타겟팅 되고 싶지 않다는 의사를 밝히는 것으로 유저가 직접 설정할 수 있음
Tracking Pixel : 1x1 픽셀 크기의 투명한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는 코드로 웹이나 이메일에 심어서 방문, 오픈, 상품 구매 등을 추적할 수 있음
Cookie : 웹 브라우저가 저정하는 웹사이트에서 만들어진 방문자에 대한 정보로, 유저를 기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장됨. 브라우저를 종료하면 삭제되는 session쿠키와 일정 기간 후에 삭제되는 persistent쿠키가 있음
Ad Tag : 애드 서버나 익스체인지가 제공하는 광고 태그로, 퍼블리셔의 웹페이지에 배치됨. 애드태그는 애드서버로부터 컨텐츠를 불러오는 역할을 함
Tag : 웹사이트 혹은 모바일 앱에 심는 코드로, 정보를 써드파티에 보내는 역할을 함
Event : 유저가 특정 행동을 했을 때 트래킹 되는 지표 ex) 설치, 회원가입, 레벨달성, 구매 등
Viewability : 유저에게 실제로 노출된 노출을 계산하는 측정 항목 중 하나로, 크리에이티브에 심어져있는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트래킹함. IAB에서는 유저가 광고의 50%를 최소 1초간 보았을 때 viewable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이를 측정하는 회사마다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음
■ 데이터
1st Party Data : 자사의 유저 데이터로, 회원가입시 제공한 정보, 구매 정보, 행동 패턴 등 사이트, 앱,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유저의 데이터가 이에 해당
2nd Party Data : DMP나 광고주, 매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취득한 다른 회사의 1st Party Data
3rd Party Data : 어떤 웹사이트나 앱, 서비스 등의 운영 주체가 직접 수집한 정보가 아닌 제 3자의 쿠키, SDK등이 수집한 데이터로 좀 더 많은 오디언스에 도달하기 위해 주로 사용됨
■ 수익화
IAP(In-App Purchases) : 인앱 구매
Subscriptions : 연간, 월간 구독 등 주기적으로 결제가 되는 시스템
Inventory : 매체가 제공하는 광고 영역
Interstitial Ads : 모바일 전면 광고 혹은 전면에 가까운 큰 크기의 팝업 배너 광고
Rewarded Video Ads(보상형 비디오 광고) : 영상 광고를 시청하는 대가로 앱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리워드를 제공하는 형태의 광고. 영상을 시청한 유저가 시청 후에 한 행동(ex : 설치) 에 대한 것은 리워드를 지급하지 않음
Native Ads(네이티브 광고) : 앱의 느낌과 사용 흐름에 맞게 바뀐 광고. 앱 유저의 경험을 해치지 않기 위하여 사용되는 형태
House Ads(하우스 광고) : 외부가 아닌 앱 개발자가 직접 송출하는 광고로, 보통 보유하고 있는 다른 앱들의 광고를 하기 위해 사용됨
Out-stream Video(아웃스트림 비디오) : 비디오 플레이어 구역 외에서 보이는 영상 광고. 기사나 블로그 글 문단 사이에 보통 위치하며, 유저가 화면을 보고 있을 때 노출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음
In-stream Video(인스트림 비디오) : 비디오 플레이어 내에서만 보이는 영상 광고. 영상 컨텐츠의 시작, 중간, 끝에 광고가 재생됨
Mediation(미디에이션) : Waterfall 모델을 기반으로 한 기술로, 매체가 다수의 애드네트워크의 노출 순서를 관리하거나 자동으로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함
Waterfall/Daisy-chaining : 다수의 애드네트워크 혹은 익스체인지의 순서를 사전에 정하여, 노출(impression)이 1순위 애드네트워크/익스체인지에서 판매되지 않으면 판매 될 때까지 다음 애드네트워크나 익스체인지로 전달됨. 매체가 수익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법 중 하나
Header Bidding : 인벤토리 구매를 원하는 애드네트워크, 익스체인지, SSP들로 부터 동시에 입찰 금액을 받는 방법. 사전에 정해진 순서대로 입찰하던 기존 Waterfall 방법보다 수익화에 더 유리함
Ad Request : 웹 페이지 혹은 앱을 유저가 로딩했을 때 광고 영역에 광고를 보여주기 위하여 애드서버에 보내는 호출. 유저의 이탈이나 Fill-Rate에 따라 광고 노출(impression)보다 그 수치가 높을 수 있음
Fill Rate : 총 광고 요청 대비 성공적으로 노출된 광고의 비율
Latency(지연) : 광고 요청과 실제 송출까지의 시간. 이 시간이 길어질 경우, 수익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침
Frequency Capping : 유저의 클릭 수나 노출 수를 기반으로 유저당 광고 노출 횟수를 제한하는 것
[관련 글]
ㄴ프로그래매틱(Programmatic) 관련 용어 정리 (1)
'마케팅 노트 > 디지털 마케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드(lead)란 무엇인가? (2) | 2019.03.21 |
---|---|
한국,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시대가 온다 (0) | 2019.03.08 |
프로그래매틱(Programmatic) 관련 용어 정리 (1) (2) | 2019.03.04 |
페이스북 부진 속 마케팅 대응 전략은? (14) | 2019.02.14 |
퍼포먼스 마케팅의 첫 걸음, 그리고 그 이후 (하) (6) | 2019.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