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없음
구글 애널리틱스 보조 측정기준(Secondary Dimensions)을 활용해 보다 세분화된 페이지 분석을 하는 법
보조 측정기준 기능을 사용해 보다 세분화된 데이터를 도출하자 구글 애널리틱스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들은 웹사이트를 분석할 때, 구글 애널리틱스 보고서 화면에 나타나는 숫자만 이용해 인사이트를 얻어내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카테고리별 보고서에 기본으로 확인되는 사이트 데이터만으로는 해당 페이지가 어떤 경로로 유입이 되는지와 같은 세부적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구글 애널리틱스는의 경우 기본 측정기준과 보조 측정 기준(Secondary Dimensions)을 조합해 측정 항목을 더 세분화 할 수 있다. 구글 애널리틱스의 페이지 분석 보고서에 있는 보조 측정기준을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아래 사진은 해당 블로그의 4월 구글 애널리틱스 사이트 콘텐츠 데이터의 기본 화면이다. /165 페이지가 메인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