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감은 어디서 찾는가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경제 에세이

좋은 글감은 어디서 찾는가

브런치 작가 합격 기념 '글쓰기연구소(글쓰연)' 2월 미션 포스팅 블로그를 꾸준히 운영하면서 더 좋은 콘텐츠를 뽑기 위해서는 더 좋은 글쓰기 능력을 키워야겠다고 생각했다. 마침 좋은 기회가 생겨 '글쓰연'(글쓰기 연구소)이라는 동호회에 가입할 수 있었다. 1월에는 너무 바빠 미션에 참여하지 못했지만 2월 미션에는 말일에 턱걸이로 참여할 수 있었다. 브런치 작가가 된 기념으로 글쓰연 매거진에 실린 글을 포스팅해본다. [2월 미션] '메모'는 곧 글감이다. 1. 비망록이 생기다. 어느 날 길을 걷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는 지금까지의 내 삶을 만족하고 있는가?', '만족스럽지 않다면 앞으로 딱 한 가지 습관으로 인생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이런 생각이 들었던 이유는 아마 당시 ..

2019.02.28 게시됨

왜 우리회사 상관은 무능력할까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경영 노트

왜 우리회사 상관은 무능력할까

유능한 리더는 '우뇌'형 인재에서 나온다  직장생활을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 번쯤 느껴봤을 법한 고민이 있다.'왜 내가 다니는 회사의 상관은 무능력할까'사실 내 주변에도 이런 고민을 털어놓는 친구들이 꽤 많다. 지금 관리자 위치에 있는 이들도 과거 누군가의 밑에서 일을 할 때는 비슷한 소리를 하지 않았을까? 그들도 비슷한 고민을 하면서 지금의 위치까지 올랐을 텐데 왜 이런 고민은 없어지지 않을까? 캐나다의 심리학자 로렌스 피터(Laurence J. Peter)는 "조직의 서열구조 속에서 모든 구성원들은 자신의 무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위치까지 승진한다."라는 말을 남겼다. 아마 옆 동네 서구사회에서도 무능력한 리더가 많았던 모양이다. 어쨌든 그가 이런 결론을 내린 이유는 어떤 직급에서 요구되는 역량..

2019.02.26 게시됨

온라인 미디어 기업은 네이버를 버려야 산다 (하)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카테고리 없음

온라인 미디어 기업은 네이버를 버려야 산다 (하)

네이버가 지배하는 대한민국의 언론과 미디어사 (지난 글과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나는 지난해부터 늘 언론사와 미팅을 하면 더 이상 네이버에 의존하는 수익구조로는 살아남을 수 없다고 주장해왔다. (90퍼센트 이상의 언론사는 전부 내 말을 무시한다.) 내가 네이버의 몰락을 예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이버는 '뉴스'로 돈을 벌어온 플랫폼이다. 사람들은 흔히 네이버의 경쟁사를 구글이나 다음이라 말한다.(최근에는 유튜브가 급격히 떠오르고 있다.) 물론 일리 있는 말이지만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사실 네이버 최대의 경쟁사는 '페이스북'이다. 네이버는 그간 뉴스 콘텐츠가 네이버를 거치지 않으면 트래픽을 확보할 수 없는 구조를 활용해 거대한 수익을 챙겨왔다. 이같은 수익구조는 다른 무엇보다도 네이버..

2019.02.21 게시됨

온라인 미디어 기업은 네이버를 버려야 산다 (상)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카테고리 없음

온라인 미디어 기업은 네이버를 버려야 산다 (상)

네이버가 지배하는 대한민국의 언론과 미디어사 미디어 업계(정확히는 온라인 매체사)에선 이맘때 가장 많이 들리는 말이 있다. '네이버 검색 제휴', 정확히는 '네이버뉴스 검색 제휴'다. 네이버 검색 제휴가 뭐길래 온라인 매체들 사이에서 이 단어가 그토록 자주 오르내리는 것일까? 네이버뉴스 검색 제휴란, 온라인 매체의 기사 콘텐츠를 (별도의 금전적 대가 없이)아웃링크out-link 방식으로 '네이버'에 제공하는 형태의 서비스를 말한다. 쉽게 말해 네이버에서 특정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네이버와 제휴된 매체는 포털에 (키워드)관련 기사를 우선순위로 노출시킬 수 있다는 말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결코 가볍지 않다. 대한민국의 제 1포털인 네이버에서 뉴스를 우선 노출시킬 수 있다는 것은 그렇지 않은 매체에 비해..

2019.02.20 게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