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리드글은 사람들을 불러 모은다.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카테고리 없음

훌륭한 리드글은 사람들을 불러 모은다.

좋은 리드글 작성하는 법 신문 기사는 한눈에 독자의 시산을 끌고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해 첫 부분에 기사의 핵심 내용을 한두 문장으로 압축해 내세운다. 이를 전문 용어로 기사의 리드(lead)라 하는데, 사실 20세기 초까지는 리드글을 잘 쓰지 않았다고 한다. 그럼 현대에 리드글을 중심으로 한 '역 피라미드' 형식의 기사를 사용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넘처나는 정보의 양 때문이다. 정보의 바다에서 바쁜 독자들이 기사 전체를 읽지 않아도 핵심을 파악할 수 있도록 내용 압축형 리드를 기사 첫머리에 쓰게 된 것이다. 매체가 다양해지고, 넘쳐나는 정보의 시대에는 갈수록 리드 글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비단 신문 기사의 문제만은 아니다. 인터넷이 발달한 현대에는 다양한 텍스트 콘텐츠가 독자에게 읽..

2019.03.11 게시됨

한국,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시대가 온다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카테고리 없음

한국,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시대가 온다

프로그래매틱 바잉과 한국 디지털 광고의 미래 언젠가부터 당신이 인터넷에서 어떤 상품을 보았거나 쇼핑을 했다면, 다른 웹사이트나 페이스북 등에서도 같은 상품이나 배너가 당신을 따라다니는 느낌을 받지는 않았는가? 최근 이런 현상이 잦아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면 당신도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영향권 안에 있다는 뜻이다. 아마 프로그래매틱 광고란 단어가 아직까진 생소한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위 사진의 표시한 것처럼 웹 사이트 화면에 내가 얼마 전 온라인으로 구매한 상품(붉은색으로 표시한) 회사 제품이 계속해서 노출이 되고 있다. 이처럼 웹 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통해 리타게팅 되는 광고를 '프로그래매틱 광고'라고 한다. 그럼 이런 광고가 가능한 이유는 무엇일까? 프로그래매틱 광고는 정확하게는 '프로그래매틱 바잉..

2019.03.08 게시됨

프로그래매틱(Programmatic) 관련 용어 정리 (2)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카테고리 없음

프로그래매틱(Programmatic) 관련 용어 정리 (2)

프로그래매틱 광고용어 정리 * 프로그래매틱 광고란? 프로그래매틱 광고란 간단히 말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디지털 광고를 구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온라인 광고 입찰 과정은 사람이 직접 관여해왔던 것과 다르게, 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등의 기술로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 프로그래매틱 광고 ■ 트래킹 Third Party Tracking Tool(써드파티 트래킹 툴) : 유저의 행동을 추적하고 광고 캠페인별, 매체별 기여도를 확인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솔루션으로, Attribution Tool(어트리뷰션 툴)이라고도 불림. (대표회사 : Adbrix, Adjust, Appsflyer, Kochava, Singular, Tune 등) Attribution Model(기여 모델) : 매체별 광고 기여도..

2019.03.06 게시됨

프로그래매틱(Programmatic) 관련 용어 정리 (1)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카테고리 없음

프로그래매틱(Programmatic) 관련 용어 정리 (1)

프로그래매틱 바잉과 지표 용어 정리 * 프로그래매틱 바잉(Programmatic buying)이란? 프로그래매틱 바잉이란 구매할 때 사람을 통해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만든 알고리즘에 따라 디지털을 통해 자동으로 구매를 하는 것을 말한다. - 프로그래매틱 바잉 생태계 ■ 프로그래매틱 RTB(Real-Time Bidding) : 실시간으로 광고를 사고 파는 것 Ad Server : 광고를 유저에게 보여주기 위해 광고를 보관, 송출, 기록하는 웹 기반의 플랫폼으로 광고주, 애드네트워크, 매체 등이 사용 ATD(Agency Trading Desk) : 프로그래매틱 바잉을 담당하는 에이전시내 담당 부서 DSP(Demand Side Platform) : 광고 구매자들이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비디오, 모바..

2019.03.04 게시됨